25일 오전 10시6분께 울산 중구 우정동의 35층짜리 주상복합 건물에서 불이 났다. 이 불로 경비원과 주민 등 4명이 연기를 마셔 병원으로 이송됐으며 일부 주민은 스스로 대피했다. 불은 건물 4층 내부를 태우고 30여분 만에 꺼졌다. 소방당국은 4층 주방에서 불이 시작됐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를 조사하고 있다. 이다예기자 [email protected]
최근 경남북을 강타한 산불은 안타까운 재난을 넘어, 우리 사회가 자연을 어떻게 바라보고 관리해 왔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30명 이상이 사망하고, 수만 명이 대피했으며, 수천 채의 건물과 산림이 잿더미가 됐다. 이 재난을 두고 일각에서는 임도 개발에 대한 감사와 책임 추궁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질문은 따로 있다 “우리는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다. 매년 산불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큰 재난으로 번진 원인과 대응에 대한 밀도 있는 숙의의 시간, 그리고 토론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필자가 오랫동안 산림 현장을 직접
6일 오후 대구시 북구 서변동에서 발생한 산불진화 작업 도중 헬기가 추락, 조종사 1명이 숨졌다.헬기는 이날 오후 3시 41분께 서변동 야산에서 난 불을 끄기 위해 투입됐다가 산불 현장에서 100m가량 떨어진 곳에 추락했다.헬기는 대구 동구청 임차헬기로 추락 당시 조..
중국 정부가 미국의 상호관세에 보복에 대응해 미국산 수입품에 기존 84%에서 125%로 상향된 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11일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에 따르면 오는 12일부터 미국산 모든 제품에 대한 관세가 기존 84%에서 125%로 상향조정된다.관세세칙위는 "이번 조치는 트럼프 미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가 6·3 조기 대선 출마 선언 후 첫 행보로 울산을 찾아 산업 현장을 방문했다.한 전 대표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 여파로 어려움을 겪는 자동차·조선업 현장을 점검하며 정치의 역할을 강조했다.그는 “진짜 실력 있는 나라에 기회가 있다”며 정부의 적극적 대응을 촉구했다. HD현대중공업과의 간담회에서도 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 필요성이 제기됐다.디지털 뉴스부 김도현 기자 [email protected]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오후 5시 8분쯤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서 사초동 사저로 출발했다.윤 전 대통령의 경호팀은 40여명 규모로 경호팀장은 관저를 담당했던 3급 경호부장이 맡았다.지난 4일 헌재의 파면 결정 후 일주일 뒤인 이날 그는 차를 세운 뒤 내려 지지자들과 일일이 악수하고 포옹을 하며 마지막 인사를 주고 받았다. 지지자들은 "윤석열, 대통령", "윤 어게인" 을 외쳤고 일부는 눈물을 흘렸다.또한 그는 서초동 사저로 이동하기 전에 변호인단을 통해 배포된 입장문에서 "이제 저는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 돌아가